얼굴마비는 얼굴의 일부 또는 전체를 움직이는 능력을 잃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이는 보통 안면신경의 손상이나 염증, 감염, 뇌졸중 등의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얼굴마비는 얼굴의 한쪽이나 양쪽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에는 눈을 감지 못하거나 입을 열지 못하는 등의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얼굴마비가 발생하면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치료는 원인에 따라 달라지며, 보통 스테로이드나 항염증제, 신경재생제, 물리치료 등이 사용됩니다. 치료 전문의의 진단과 처방에 따라 치료방법이 달라질 수 있으니 전문의와 상담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목차
- 개요
- 종류
- 증상
1. 개요
눈을 깜박이고, 표정을 짓는 등의 행위는 얼굴 근육의 수축과 이완에 의해서 일어나게 됩니다. 얼굴 근육의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는 질환이나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얼굴 근육의 근력 약화에 의해 얼굴마비가 발생합니다.
얼굴 근육은 뇌신경인 얼굴신경(혹은 안면신경)의 지배를 받으며, 얼굴신경의 손상이나 질병이 있는 경우에는 한쪽 얼굴의 표정 짓기나 눈감기 등의 기능을 못하게 됩니다. 얼굴신경에는 얼굴의 감각을 느끼게 하는 신경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얼굴신경의 손상이나 질병이 있는 경우에는 얼굴의 감각 저하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얼굴마비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이 얼굴신경마비이며, 대부분의 경우 좌측이나 우측 한쪽만 마비가 발생하기 때문에 입이 돌아갔다, 입이 삐뚤어졌다는 등의 증상을 호소하면서 병원을 찾게 됩니다.
2. 종류
얼굴신경마비(안면신경 마비)는 크게 중추성과 말초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인체의 모든 근육은 반대쪽 뇌의 지배를 받는데 얼굴 근육도 예외는 아닙니다. 뇌 속에서 얼굴 근육으로 연결되는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에 이상이 발생하여 얼굴신경마비가 오는 것을 중추성 얼굴신경마비라고 하고, 얼굴신경이 뇌에서 빠져나온 이후의 경로에 이상이 발생하여 마비가 오는 것을 말초성 얼굴신경마비라고 합니다.
3. 증상
얼굴신경마비가 발생하였을 경우 가장 중요한 것은 심각한 신경학적 후유증을 동반할 수 있는 중추성 마비와 벨마비와 같은 말초성 마비를 얼굴마비의 양상으로 구별해 내는 것입니다. 중추성 얼굴신경마비의 경우에는 입은 심하게 돌아가더라도 눈감기와 이마에 주름잡기는 할 수 있는 반면, 말초성 얼굴신경마비는 눈감기와 이마에 주름잡기가 불가능합니다.

관련 건강정보
얼굴마비(말초성 마비) / 얼굴마비(중추성 마비)
자료출처 :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국가건강정보포털
알고 싶은 신체 건강정보 신체 부위를 선택해주세요. 눈 질환 귀코목 질환 구강 질환 피부 질환 뼈근육 질환 정신건강 질환 뇌신경 질환 호흡기 질환 순환기 질환 소화기 질환 비뇨기 질환 생식
health.kdca.go.kr
'건강 > 뇌신경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간판탈출증(디스크)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04.23 |
---|---|
얼굴마비(말초성 마비) 자세하게 알아보기 (0) | 2023.04.17 |
얼굴마비(중추성 마비) (0) | 2023.04.17 |
[편두통] 아플 땐 정말 힘들어요 원인과 증상 치료 자세하게 알아보기 (0) | 2023.04.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