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혈압2 증상도 없는데, 왜 혈압약을 먹어야 하나요? 고혈압이란, 적절한 방법*으로 측정한 평균 수축기혈압이 140mmHg**이상이거나 이완기혈압이 90**이상인 경우를 말합니다. 2022년 고혈압 팩트시트에 의하면 20세 이상 성인 중 약 30%인 1,260만 명이 고혈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중 740만 명, 즉 고혈압 인구 중 2/3만이 지속적으로 관리와 치료를 하고 있습니다. 고혈압이 있는 인구 중 69.5%만이 본인이 고혈압이라는 것을 알고 있으며, 고혈압을 진단받고 치료를 받는 경우는 64.8%입니다. 치료를 하는 경우에도 혈압을 140/90 미만으로 적절히 조절하고 있는 경우는 73.2%(고혈압 치료자 중에 조절률) 정도 밖에 되지 않습니다. 특히, 전체 고혈압 유병자를 기준으로 할 때의 조절률은 절반(47.4%) 밖에 되지 않는 것이.. 2023. 5. 23. 고혈압 이야기 저혈압과의 차이점 및 연관된 질환들 고혈압은 동맥벽에 대한 혈액의 힘이 지속적으로 너무 높은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입니다. 혈압은 수은 밀리미터(mmHg) 단위로 측정되며 두 개의 숫자로 기록됩니다. 첫 번째로 숫자인 수축기 혈압은 심장이 박동할 때 동맥의 압력을 측정합니다. 두 번째 숫자인 확장기 혈압은 심장이 박동 사이에 쉬고 있을 때 동맥의 압력을 측정합니다. 정상 혈압은 일반적으로 약 120/80mmHg입니다. 사람의 수축기 혈압이 지속적으로 130mmHg 이상이거나 확장기 혈압이 지속적으로 80mmHg 이상일 때 진단됩니다. 일차성(본태성) 고혈압 또는 이차성 고혈압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원발성 고혈압은 가장 흔한 유형이며 식별 가능한 원인이 없습니다. 수년에 걸쳐 점진적으로 발전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속발성은 신장 질환, 호르.. 2023. 4. 5. 이전 1 다음